위약의 약효, 플라시보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플라시보 효과뿐만 아니라, 노시보 효과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노시보 효과는 덜 알려진 개념이지만, 임상시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임상시험 사례를 통해 가짜 약, 즉 위약의 플라시보 효과와 노시보 효과를 소개하겠습니다.

위약의 약효, 플라시보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노시보 효과
위약의 약효, 플라시보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위약, 즉 실제 약효가 없는 가짜 약을 복용했을 때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플라시보 효과가 얼마나 큰지 살펴보겠습니다.

얼마 전 발표된 2023년 미국 심장병학회에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 대상으로 박수두로스타트의 안전성과 효능을 살펴본 HALO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구 대상자는 평균 혈압이 147/83인 고혈압 환자였습니다. 박수두로스타트는 알도스테론 합성 억제제로 혈압을 감소시키는 약입니다.

이 연구에서 위약군에서도 평균 16mmHg의 혈압 강하가 있었습니다. 이는 생활습관 개선 교육과 함께 플라시보 효과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10~16mmHg의 혈압 강하를 보이며, 이는 실제 약물 효과와 비교할 만큼 상당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통증에서의 플라시보 효과

다음으로 통증에서의 플라시보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 세레콕시브(세레브렉스)와 위약을 비교한 결과, 위약군에서도 무릎 통증이 20% 이상 감소한 참가자의 비율이 60%에 달했습니다. 이는 통증 치료에서 플라시보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와 반대로, 위약 복용으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나는 현상을 노시보 효과라고 합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서 위약군에서도 상당한 부작용이 보고되었습니다.

1차 접종 시, 위약군의 35.2%, 백신군의 46.3%가 부작용을 경험했습니다. 2차 접종 시에는 위약군에서 31.8%, 백신군에서 61.4%가 부작용을 보고했습니다.

이는 위약군에서도 상당한 비율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가짜 약임을 알고도 효과가 있는 경우

가짜 약임을 알고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있습니다.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공개 위약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이 위약임을 알고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 감소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가 인식과 상관없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노시보 효과의 사례 (스타틴 복용)

스타틴을 복용하는 환자 중 상당수가 근육통을 호소하며 약을 중단합니다. 그러나 스타틴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인지, 노시보 효과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위약을 복용한 달에도 스타틴을 복용했을 때와 비슷한 수준의 근육통이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노시보 효과가 부작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위약은 플라시보 효과뿐만 아니라 부작용을 일으키는 노시보 효과도 있습니다. 고혈압, 통증 치료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상당히 크며, 이는 실제 약물의 효과와 유사한 수준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위약군에서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노시보 효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가짜 약임을 알고도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부작용으로 약을 중단한 사람들 중 상당수는 노시보 효과 때문일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